나이가 드니까 조금 더 감정 기복이 잔잔해지고, 현실을 고스란히 깨달아 가는 것 같다. 그 전에는 치기 어리게 모든 것이 가능할 것 같았고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탄탄한 믿음이 있었는데 나이가 들면서 알게 되는 것도 많고 그리고 어릴 때야 직장을 관두더라도 다시 취직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았지만 점차 나이 들면 어디서 써줄 데도 없는 것을 피부로 또 한 번 이번에 느끼게 되었다.
나는 기술이 있으므로 마냥 힘들구나 생각만하고 일의 강도가 덜 한 곳으로 가고 싶었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회사는 거의 없으며 회사는 언제나 주먹구구식의 시스템이고 언제나 ASAP이며, 나와 너무 달라 맞지 않는 회사 동료나 직속 상사, 대표가 도사리고 있으며 오르지 않는 연봉 동결 등이 있겠다.
멘탈을 단단하게 무장 하려면 체력을 많이 키워야겠다는 것도 느지막이 깨달았다. 어렴풋이 운동을 해야겠다는 계획은 잡고 있지만 이것이 왜 이렇게까지 중요한지까지는 모르고 있었지만 살면서 체력이 튼튼해야 정신도 단단히 무장이 되고 감정의 기복이나 무너져 내림, 버팀의 힘이 가능하다는 것을 마흔 줄이 거의 다 되어가는 시점에 깨닫고 있다.
위 출처에서 그런 말을 하더라. 사람은 어릴때는 이것저것 많이 모를 때고 그래서 많이 기웃거리기도 하고 찔러보는 때라면 이제 마흔은 진정한 인생의 시작이라고. 인생 간 좀 보다가 놀다가 들쑤시고 다니기도 하다가 그런 식으로 오리엔테이션 참석의 나날을 보내다가 마흔이 되어 비로소 뭐 좀 알 것 같고 이제 좀 뭐 좀 할만하다 싶은 시기라고.
그 말에 참 공감도 되면서 위안도 되었다. 나의 2030대는 정말 많은일들을 시도하고 방황하고 들쑤셨고 생각의 꼬리가 길었고 도전의 연속과 실패와 좌절이었고 다듬어 나갔다가 다시 모난돌에 맞아 찌그러지기도 했다. 물론 마흔 되어 완벽한 어른의 완성이나 인생의 시작을 위한 탄탄한 준비가 되었다고는 말할 수없겠지만, 이제야 뭐 좀 알 것 같다는 것이고. 때문에 아, 내가 지금까지 이렇게 살아왔는데 왜 이랬을까 너무 늦은 것 아닌가 하는 후회를 할 나이는 아니라는 것이다.
아직 인생 남은것도 많고 할 일도 많기 때문에 이렇게 후회할 시간보다 앞에서 녹는 속도가 더 빠르다고 미국의 어느 얼음 조각가가 이야기했었다.
다시금 마음을 가다듬고 싶어서 기록해보는 글이다.
댓글